Skip to content

2014.03.05 16:33

3월 5일 재의 수요일

조회 수 5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제1독서 요엘 2,12-18


12 주님의 말씀이다. 이제라도 너희는 단식하고 울고 슬퍼하면서, 마음을 다하여 나에게 돌아오너라. 13 옷이 아니라 너희 마음을 찢어라. 주 너희 하느님에게 돌아오너라. 그는 너그럽고 자비로운 이, 분노에 더디고 자애가 큰 이, 재앙을 내리다가도 후회하는 이다. 14 그가 다시 후회하여 그 뒤에 복을 남겨 줄지, 주 너희 하느님에게 바칠 곡식 제물과 제주를 남겨 줄지 누가 아느냐?
15 너희는 시온에서 뿔 나팔을 불어 단식을 선포하고, 거룩한 집회를 소집하여라. 16 백성을 모으고, 회중을 거룩하게 하여라. 원로들을 불러 모으고, 아이들과 젖먹이들까지 모아라. 신랑은 신방에서 나오고, 신부도 그 방에서 나오게 하여라.
17 주님을 섬기는 사제들은 성전 현관과 제단 사이에서 울며 아뢰어라. '주님, 당신 백성에게 동정을 베풀어 주십시오. 당신의 소유를 우셋거리로, 민족들에게 이야깃거리로 넘기지 마십시오. 민족들이 서로 '저들의 하느님이 어디 있느냐?' 하고 말해서야 어찌 되겠습니까?'
18 주님께서는 당신 땅에 열정을 품으시고, 당신 백성을 불쌍히 여기셨다.



제2독서 2코린 5,20─6,2


형제 여러분, 20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절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통하여 권고하십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여러분에게 빕니다. 하느님과 화해하십시오. 21 하느님께서는 죄를 모르시는 그리스도를 우리를 위하여 죄로 만드시어,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이 되게 하셨습니다. 6,1 우리는 하느님과 함께 일하는 사람으로서 권고합니다.
하느님의 은총을 헛되이 받는 일이 없게 하십시오. 2 하느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은혜로운 때에 내가 너의 말을 듣고, 구원의 날에 내가 너를 도와주었다.' 지금이 바로 매우 은혜로운 때입니다. 지금이 바로 구원의 날입니다.



복음 마태 6,1-6.16-1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 '너희는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그들 앞에서 의로운 일을 하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그러지 않으면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에게서 상을 받지 못한다.
2 그러므로 네가 자선을 베풀 때에는, 위선자들이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으려고 회당과 거리에서 하듯이, 스스로 나팔을 불지 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받을 상을 이미 받았다. 3 네가 자선을 베풀 때에는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여라. 4 그렇게 하여 네 자선을 숨겨 두어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5 너희는 기도할 때에 위선자들처럼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려고 회당과 한길 모퉁이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한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받을 상을 이미 받았다. 6 너는 기도할 때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은 다음, 숨어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여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16 너희는 단식할 때에 위선자들처럼 침통한 표정을 짓지 마라. 그들은 단식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려고 얼굴을 찌푸린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받을 상을 이미 받았다. 17 너는 단식할 때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어라. 18 그리하여 네가 단식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지 말고, 숨어 계신 네 아버지께 보여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비가 오면 우산을 펼쳐 쓰거나, 만약 우산이 없다면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얼른 이동하는 것이 우리들의 일반적인 모습니다. 그런데 정반대로 비를 홀딱 맞고자 할 때도 있습니다.

몇 년 전이었습니다. 혼자서 자전거 여행을 하고 있었지요. 무척이나 더운 8월 여름날이었지요. 더군다나 오르막길을 오르다보니 이제 지쳐서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가득했습니다. 바로 그 순간 소나기가 시원하게 하늘에서 쏟아지는 것입니다. 이 소나기를 피했을까요? 아닙니다. 땀을 뻘뻘 흘리던 무더운 날에 쏟아지는 소나기는 저에게 하나의 축복이었고 기쁨이었습니다.

어떤 상황에 따라 괴로움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은총과 축복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것이지요. 결국 어렵고 힘들다는 것, 정말로 피하고 싶은 것들, 그 모든 것들도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감사의 이유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의 내 상황이 나쁘다고 무조건 거부할 것인가요?

기도를 하면 들어주십니까? 안 들어주십니까? 사실 반드시 들어주십니다. 문제는 들어주는 시기를 내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께서 정하신다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하루 빨리 이루어지기 위해 기도할 뿐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나 서두릅니다. 조금만 기다리면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주님의 뜻을 발견할 수 있을 텐데, 순간의 만족과 기쁨만을 청하다보니 부정적인 생각이 그리고 불평불만이 가득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프랑스의 유명한 시인 ‘마르셀 파뇰’(솔직히 누군지 잘 모릅니다)은 삶에 대한 태도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낙관적인 사람에게 삶은 전혀 문젯거리가 아니다. 삶 자체가 이미 해결책이다.”

주님께서 주신 삶. 따라서 그 자체가 모든 문젯거리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들은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다보니 해결책보다는 문젯거리를 찾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도 삶에 대해 “삶은 멋진 것이라는 사실을 결코 잊지 마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을 그가 중병에 걸려 누워 있을 때 했다고 합니다. 좋은 상황이나 나쁜 상황이나 상관없이 모든 삶 그 자체가 멋지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주님께서 주신 삶을 바라보고 사는 사람이 어떻게 행복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오늘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십 일간의 사순시기가 시작됩니다. 바로 예수님의 수난과 고통 그리고 죽음을 묵상하는 시기입니다. 그러나 이는 곧 예수님의 영광스러운 부활을 준비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어둡고 힘들어 보이는 시간이 지난 뒤에야 영광스러운 시간을 맞이할 수 있음을 우리들에게 보여줍니다.

삶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습니까? 삶은 멋진 곳임을 기억하면서, 어렵고 힘들어도 그 안에 주님께서 함께 계심을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마음으로 은혜로운 사순시기를 지내셨으면 합니다.



우리는 단 1분도 헛되이 보내지 않으려고 서둘면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기쁨을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적이란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무엇이든 가능한 한 많이, 빨리 해결하고자 한다. 여기서 생기는 것은 언제나 많은 만족과 적은 기쁨이다(헤르만 헤세).





                                                                 진정한 아름다움을 향해....

어떤 책에서 ‘왜 세상 모든 아기는 예쁠까?’라는 질문을 보았습니다. 잠시 생각해보았지요. 왜 아기는 다 예쁠까요? 그런데 이에 대한 답을 이 책은 이렇게 간단히 말합니다.

“예뻐 보이려 하지 않으니까.”

정말로 그런 것 같습니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만큼 아름다운 것이 어디에 있을까요? 그런데 우리 인간들은 계속해서 꾸밉니다. 인위적인 모습 안에서 순간적으로 ‘예쁘다’는 말은 나올 수 있겠지만, ‘참으로 아름답다’라는 말은 잘 나오지 않습니다. 꾸미는 겉모습보다는 꾸밈없는 속 모습에서 우리는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을 한 번 생각해보십시오. 다 ‘사랑’ 안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사랑이 드러나는 곳이 진정으로 아름다운 곳이었음을, 그래서 사랑이라는 주님의 계명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 빠다킹 신부님 강론 말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3월 8일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8 572
266 3월 7일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7 584
» 3월 5일 재의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5 583
264 3월 4일 연중 제8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4 560
263 2월 28일 연중 제7주간 금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8 572
262 2월 27일 연중 제7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7 621
261 2월 24일 연중 제7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4 588
260 2월 22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2 735
259 2월 19일 연중 제6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9 591
258 2월 18일 연중 제6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8 641
257 2월 14일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4 613
256 2월 13일 연중 제5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3 644
255 2월 12일 연중 제5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2 623
254 2월 11일 연중 제5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1 621
253 2월 10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0 733
252 1월 29일 연중 제3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9 620
251 1월 27일 연중 제3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7 725
250 1월 25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5 689
249 1월 24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4 734
248 1월 23일 연중 제2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3 636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1 Next
/ 31
미사 시간 안내
평일
오전 06:30
화,목
오후 07:30
수,금
오전 10:00
주일
오후 03:30(초등)
오후 07:00(중고등)
오전 06:30
오전 10:30
 

교리 시간 안내
오후 08:00 저녁반
오전 10:30 오전반
오후 02:00 초등부
오후 08:00 중고등

52714 진주시 천수로 152번길 24 망경동성당
전화 : 055-756-5680 , 팩 스 : 055-756-5683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