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제1독서 사도 22,3-16


그 무렵 바오로가 백성에게 말하였다. 3 “나는 유다 사람입니다. 킬리키아의 타르수스에서 태어났지만 이 도성 예루살렘에서 자랐고, 가말리엘 문하에서 조상 전래의 엄격한 율법에 따라 교육을 받았습니다. 오늘날 여러분이 모두 그렇듯이 나도 하느님을 열성으로 섬기는 사람이었습니다. 4 또 신자들을 죽일 작정으로 이 새로운 길을 박해하여, 남자 여자 할 것 없이 포박하고 감옥에 넣었습니다. 5 대사제와 온 원로단도 나에 관하여 증언해 줄 수 있습니다. 나는 그들에게서 동포들에게 가는 서한까지 받아 다마스쿠스로 갔습니다. 그곳에 있는 사람들도 결박하여 예루살렘으로 끌고 와 처벌을 받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6 그런데 내가 길을 떠나 정오쯤 다마스쿠스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 갑자기 하늘에서 큰 빛이 번쩍이며 내 둘레를 비추었습니다. 7 나는 바닥에 엎어졌습니다. 그리고 ‘사울아, 사울아, 왜 나를 박해하느냐?’ 하고 나에게 말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8 내가 ‘주님, 주님은 누구십니까?’ 하고 여쭙자, 그분께서 나에게 이르셨습니다. ‘나는 네가 박해하는 나자렛 사람 예수다.’
9 나와 함께 있던 이들은 빛은 보았지만, 나에게 말씀하시는 분의 소리는 듣지 못하였습니다.
10 ‘주님, 제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내가 여쭈었더니, 주님께서 나에게 이르셨습니다. ‘일어나 다마스쿠스로 들어가거라. 장차 네가 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모든 일에 관하여 거기에서 누가 너에게 일러 줄 것이다.’
11 나는 그 눈부신 빛 때문에 앞을 볼 수가 없어, 나와 함께 가던 이들의 손에 이끌려 다마스쿠스로 들어갔습니다. 12 거기에는 하나니아스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율법에 따라 사는 독실한 사람으로, 그곳에 사는 모든 유다인에게 좋은 평판을 받고 있었습니다. 13 그가 나를 찾아와 앞에 서서, ‘사울 형제, 눈을 뜨십시오.’ 하고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그 순간 나는 눈을 뜨고 그를 보게 되었습니다.
14 그때에 하나니아스가 말하였습니다. ‘우리 조상들의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선택하시어, 그분의 뜻을 깨닫고 의로우신 분을 뵙고 또 그분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게 하셨습니다. 15 당신이 보고 들은 것을 모든 사람에게 전하는 그분의 증인이 되라는 것입니다. 16 그러니 이제 무엇을 망설입니까? 일어나 그분의 이름을 받들어 부르며 세례를 받고 죄를 용서받으십시오.’”



복음 마르 16,15-18


그때에 예수님께서 열한 제자에게 나타나시어 15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16 믿고 세례를 받는 이는 구원을 받고 믿지 않는 자는 단죄를 받을 것이다. 17 믿는 이들에게는 이러한 표징들이 따를 것이다. 곧 내 이름으로 마귀들을 쫓아내고 새로운 언어들을 말하며, 18 손으로 뱀을 집어 들고 독을 마셔도 아무런 해도 입지 않으며, 또 병자들에게 손을 얹으면 병이 나을 것이다.”





요즘에는 특별히 예의를 갖출 일이 아니면 제 발에 편한 등산화를 신고 다닙니다. 산에 갈 때 신어야 제격인 것처럼 보이지만, 도시 안에서도 등산화는 걷는데 무척 편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산에 가는 것도 아닌데 늘 등산화를 신고 다니세요?”라고 말하지만, 다행히도 예전과는 달리 무겁고 딱딱한 등산화가 아니라 가볍고 부드러운 등산화라 그 어떤 신발보다도 편한 것 같습니다. 아무튼 사람들의 시선을 신경 쓰면 신지 못하겠지만, 그 시선에 그리 신경 쓰지 않는다면 기왕이면 편한 신발이 훨씬 낫지 않겠습니까?

사실 저 역시 한때는 다른 사람의 시선을 무척이나 신경 썼습니다. 특히 인터넷에 매일 같이 부족한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이라, 이 글을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일까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제 글에 대한 댓글을 시간이 날 때마다 확인하곤 했지요. 그러던 어느 날, ‘사람들의 시선이 과연 중요한 것일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 생각을 내 손을 이용해서 글을 쓰고, 내가 직접 인터넷에 올리는데, 왜 남의 생각에 영향을 받고 신경을 써서 힘들어 할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라는 것이지요.

그 뒤 댓글을 보지 않게 되었습니다. 전에는 사람들에게 “여러분의 댓글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라고 종종 말하면서 댓글 달기를 종용하기도 했지만, 이제 댓글을 전혀 보지 않다보니 그러한 말을 할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혹시 이솝 우화 중에서 박쥐 이야기를 기억하십니까? 땅에 사는 동물들에게는 ‘나는 쥐’라고 말하고, 하늘에 사는 동물들에게는 ‘나는 새’라고 말하는 박쥐이지요. 하지만 땅에 사는 동물에게도 또 하늘에 사는 동물들의 무리에도 속하지 못하고 따돌림을 당한다는 내용이지요. 어렸을 때에는 이곳에도 붙고 저쪽에도 붙는 기회주의자가 잘못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즘에는 왜 이것 아니면 저것으로 극단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더 잘못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와 다르면 그냥 ‘다르다’라고 받아들여야 하는데, ‘틀렸다’라면서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세상의 시선에 신경 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주님의 시선입니다. 주님의 시선은 ‘다르다’라는 것을 ‘틀렸다’며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받아주시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여러 모습을 갖추고 있는 제자들을 받아들였으며, 심지어 당신을 박해하던 바오로를 회심시켜서 당신의 커다란 일꾼으로 삼으셨던 것입니다.

우리 역시 이 주님의 시선을 따라야 합니다. 틀렸다면서 거부하는 세상의 시선이 아닌, 다른 것 역시 모두 포용할 수 있는 사랑 가득한 주님의 시선을 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그때 도저히 바뀌지 않을 것 같았던 바오로가 회심해서 주님 증거하는 큰 일꾼이 되었던 것처럼, 그 주님의 시선이 복잡하고 힘든 이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킬 것입니다.



겨울이 길다고 걱정하지 말자. 겨울이 길면 봄은 순식간에 찾아오니까(이애경).





                                                                           기다림

어떤 사람이 무엇을 해야 먹고 살까를 고민하다가 공기 좋은 시골에서 가계를 차렸습니다. 그리고 이 가계가 잘 되기를 하느님께 간절히 기도했지요. 그런데 이게 어떻게 된 일인지, 글쎄 장사가 전혀 되지 않아서 얼마 안 가서 쫄딱 망하고 말았습니다.

그는 기도를 전혀 들어주지 않은 하느님이 너무나 야속했습니다. 열심히 성당을 다녔고, 또 열심히 기도했는데 전혀 응답이 없는 하느님에 대해 의심까지 생겼지요. 결국 그는 시골에 더 이상 살 수가 없어서 도시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도시에서 열심히 또 다른 가게를 운영했지요.

그런데 이 가게가 너무나 잘 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 주었고, 그는 커다란 성공을 거둘 수가 있었습니다. 그는 그제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시골에서 가계를 차렸을 때, 하느님의 응답 없음이 오히려 하느님의 축복이었음을 말이지요. 만약 망하지 않았다면 시골을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고, 지금의 성공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하느님으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절대로 우리를 버리지 않습니다. 단지 중요한 때를 기다리고 계실 뿐입니다. 이 중요한 때를 참고 기다리는 것, 이것 역시 우리들의 소중한 믿음이 아닐까요?




                                                                                                                                 - 빠다킹 신부님 강론 말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3월 8일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8 572
266 3월 7일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7 584
265 3월 5일 재의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5 583
264 3월 4일 연중 제8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3.04 560
263 2월 28일 연중 제7주간 금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8 572
262 2월 27일 연중 제7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7 621
261 2월 24일 연중 제7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4 588
260 2월 22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22 735
259 2월 19일 연중 제6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9 591
258 2월 18일 연중 제6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8 641
257 2월 14일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4 613
256 2월 13일 연중 제5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3 644
255 2월 12일 연중 제5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2 623
254 2월 11일 연중 제5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1 621
253 2월 10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2.10 733
252 1월 29일 연중 제3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9 620
251 1월 27일 연중 제3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7 725
» 1월 25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5 689
249 1월 24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4 734
248 1월 23일 연중 제2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1.23 636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1 Next
/ 31
미사 시간 안내
평일
오전 06:30
화,목
오후 07:30
수,금
오전 10:00
주일
오후 03:30(초등)
오후 07:00(중고등)
오전 06:30
오전 10:30
 

교리 시간 안내
오후 08:00 저녁반
오전 10:30 오전반
오후 02:00 초등부
오후 08:00 중고등

52714 진주시 천수로 152번길 24 망경동성당
전화 : 055-756-5680 , 팩 스 : 055-756-5683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