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
제1독서 사도 5,34-42


그 무렵 34 최고 의회에서 어떤 사람이 일어났다. 온 백성에게 존경을 받는 율법 교사로서 가말리엘이라는 바리사이였다. 그는 사도들을 잠깐 밖으로 내보내라고 명령한 뒤, 35 그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인 여러분, 저 사람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잘 생각하십시오. 36 얼마 전에 테우다스가 나서서, 자기가 무엇이나 되는 것처럼 말하였을 때에 사백 명가량이나 되는 사람이 그를 따랐습니다. 그러나 그가 살해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끝장이 났습니다. 37 그 뒤 호적 등록을 할 때에 갈릴래아 사람 유다가 나서서 백성을 선동하여 자기를 따르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죽게 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버렸습니다.
38 그래서 이제 내가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 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39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가말리엘의 말에 수긍하고, 40 사도들을 불러들여 매질한 다음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고 지시하고서는 놓아주었다. 41 사도들은 그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최고 의회 앞에서 물러 나왔다.
42 사도들은 날마다 성전에서 또 이 집 저 집에서 끊임없이 가르치면서 예수님은 메시아시라고 선포하였다.



복음 요한 6,1-15


그때에 1 예수님께서 갈릴래아 호수 곧 티베리아스 호수 건너편으로 가셨는데, 2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라갔다. 그분께서 병자들에게 일으키신 표징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3 예수님께서는 산에 오르시어 제자들과 함께 그곳에 앉으셨다. 4 마침 유다인들의 축제인 파스카가 가까운 때였다.
5 예수님께서는 눈을 드시어 많은 군중이 당신께 오는 것을 보시고 필립보에게, “저 사람들이 먹을 빵을 우리가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 하고 물으셨다. 6 이는 필립보를 시험해 보려고 하신 말씀이다. 그분께서는 당신이 하시려는 일을 이미 잘 알고 계셨다.
7 필립보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저마다 조금씩이라도 받아 먹게 하자면 이백 데나리온어치 빵으로도 충분하지 않겠습니다.”
8 그때에 제자들 가운데 하나인 시몬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9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10 그러자 예수님께서 “사람들을 자리 잡게 하여라.” 하고 이르셨다. 그곳에는 풀이 많았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자리를 잡았는데, 장정만도 그 수가 오천 명쯤 되었다.
11 예수님께서는 빵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자리를 잡은 이들에게 나누어 주셨다. 물고기도 그렇게 하시어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주셨다. 12 그들이 배불리 먹은 다음에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버려지는 것이 없도록 남은 조각을 모아라.” 하고 말씀하셨다. 13 그래서 그들이 모았더니, 사람들이 보리 빵 다섯 개를 먹고 남긴 조각으로 열두 광주리가 가득 찼다.
14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일으키신 표징을 보고, “이분은 정말 세상에 오시기로 되어 있는 그 예언자시다.” 하고 말하였다. 15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와서 당신을 억지로 모셔다가 임금으로 삼으려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





2001년 6월 14일부터 인터넷에 쓰기 시작했던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라는 묵상 글을 저는 지금도 쓰고 있습니다. 즉, 새벽 일찍 일어나서 기도하고 묵상한 뒤에 이렇게 묵상 글을 써서 인터넷에 올리고 있습니다. 이 묵상 글을 위해 아무리 못해도 5시 전에는 일어나야 합니다. 이런 저를 보면서 신학생 때 함께 방을 썼었던 동창 신부는 너무나도 신기해합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 신학교 기상 시간이 아침 6시인데, 저는 단 한 번도 그 시간에 스스로 일어나 본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룸메이트였던 동창 신부가 몇 번을 깨워야 간신히 일어나서 6시 30분 아침기도 시간에 겨우 들어갔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사제가 되었을 때의 제 모습이 얼마나 걱정되었는지 모릅니다. 제일 싫어하는 새벽미사를 과연 할 수가 있을까? 이런 게으름을 가지고 사제로 살아갈 수 있을까? 등등의 의문들이 생기면서 점점 자신감이 없어집니다. 사제의 길보다는 다른 길을 선택하는 편이 저를 위해서도 또 교우들을 위해서도 더 나은 것 같았습니다.

지금 현재 사제로 16년째 살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저를 두고 그 누구도 게으르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새벽에 일어나는 것도 누구보다도 잘 합니다. 이러한 제 모습을 바라보면서 불가능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다시금 새겨보게 됩니다. 불가능은 어쩌면 내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부정적인 단어일 뿐입니다. 더군다나 하느님께서 하고자 하신다면 불가능한 것이 과연 어디에 있겠습니까?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많은 군중을 보신 뒤에 필립보에게 “저 사람들이 먹을 빵을 우리가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고 묻습니다. 장정만도 그 수가 오천 명쯤 되었습니다. 인간적으로는 도저히 저 사람들을 배불리 먹일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런데도 이런 질문을 던지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모든 일을 하느님께 맡겨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시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느님께서 하고자 하신다면 불가능한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의 일은 항상 차고 넘칩니다. 그래서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통해서 사람들을 배불리 먹인 다음에 남긴 조각으로 열두 광주리를 가득 채우지 않았습니까?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의 능력으로 그곳에 모인 사람들이 딱 먹을 만큼만 기적을 일으킬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기적은 차고 넘쳤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언제나 우리에게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주신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부정적인 마음으로 하느님의 일을 축소시켜서는 안 됩니다. 대신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음을 기억하면서 언제나 모든 것을 맡길 수 있는 굳은 믿음을 간직해야 할 것입니다. 그때 우리가 필요한 것을 다 채워 주시는 것을 뛰어넘어 더 많은 은총과 사랑을 하느님으로부터 받게 될 것입니다.



산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는 여름날의 무성함과 찬란함이 아니라 겨울날의 힘겨움에 담겨 있는지도 모른다(이금이).





                                                            주님께서는 나를 어떻게 생각하실까?

우리는 자신이 하는 모든 일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 역시 나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고 여기지요. 그런데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자기 스스로를 바라보세요. 여러분은 과연 다른 사람에게 지나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까? 내가 다른 사람에게 별 관심을 갖지 않는 것처럼, 다른 사람도 내게 별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문제는 다른 사람이 나를 바라보고 있다는 착각입니다. 그래서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를 염려하고 불안해하면서 소극적으로 살 필요가 없다는 것이지요.

다른 사람의 시선보다 중요한 것은 주님의 시선입니다. ‘주님께서 나를 어떻게 생각하실까’를 염려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나에 대해 별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시선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신경 쓰면서, 나에 대해 최고의 관심을 두고 계시는 주님에 대해서는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모습을 반성해야 할 것입니다.






  





                                                                                                                                  - 빠다킹 신부님 강론 말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 5월 1일 노동자 성 요셉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01 615
386 5월 20일 부활 제5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20 643
385 5월 20일 연중 제7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20 431
384 5월 21일 부활 제7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21 428
383 5월 22일 연중 제7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22 432
382 5월 23일 연중 제7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23 466
381 5월 25일 연중 제7주간 토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25 493
380 5월 26일 부활 제6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26 638
379 5월 27일 부활 제6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27 819
378 5월 2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2 455
» 5월 2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02 615
376 5월 30일 연중 제8주간 목요일 엔젤 2013.05.30 429
375 5월 3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방문 축일 엔젤 2013.05.31 431
374 5월 3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3 432
373 5월 4일 부활 제3주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07 579
372 5월 6일 부활 제6주간 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6 429
371 5월 7일 부활 제6주간 화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7 427
370 5월 8일 부활 제 3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4.05.09 629
369 5월 8일 부활 제6주간 수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8 423
368 5월 9일 부활 제6주간 목요일 인화야~(효주아네스) 2013.05.09 428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1 Next
/ 31
미사 시간 안내
평일
오전 06:30
화,목
오후 07:30
수,금
오전 10:00
주일
오후 03:30(초등)
오후 07:00(중고등)
오전 06:30
오전 10:30
 

교리 시간 안내
오후 08:00 저녁반
오전 10:30 오전반
오후 02:00 초등부
오후 08:00 중고등

52714 진주시 천수로 152번길 24 망경동성당
전화 : 055-756-5680 , 팩 스 : 055-756-5683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